산행(대전外)679 횡성 태기산&봉평 메밀꽃 선자령처럼 눈이 쌓였을 때나 오를만하지 여름엔 산행하기 별 재미가 없는 산.. 볼거리도 없고.. 오늘은 순전히 봉평 효석생가 가는 길에 덤으로 오른 것.. 죽령에서 연화봉으로 가는 길과 느낌이 비슷한 길이지만 조망은 소백산 연화봉길과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떨어진다 양구두미재(해발 980m)가 워낙 높아서 조금만 걸으면 정상(1,261m)이라 싱거운 느낌 태기산 내려와서 들린 봉평(평창) 이효석생가 메밀꽃은 이제 막 피기 시작했다 효석문화제가 시작되는 9/8 쯤이면 절정일듯..(축제9/8~9/17) 현지 주민들 말로는 올해 메밀꽃이 역대급으로 곱게 피는 것 같다고.. 몇 년 전 평창 고랭길을 걷고 내려와 봤던 메밀꽃은 별로였다 2020년 축제 때도 그랬고.. 아직은 축제 준비가 덜 된 상태.. 섶다리 주.. 2023. 9. 3. 영동 삼봉산(버섯산행) 8/16 민주지산 산행 후 거의 2주 만에 하는 산행.. (8/18 코로나 확진판정) 여전히 100% 컨디션은 아닌 것 같아서 가볍게 걸으면서 등산로 주변 버섯이나 따오겠다는 생각으로 나선 건데.. 견물생심이라고... 자꾸 버섯이 눈에 들어오니 욕심이 생겨서 생각보다 긴 산행이 되고 말았다 5시간 걷는 동안 버섯꾼 한 명 만난 게 전부일 정도로 삼봉산은 산꾼이 많이 찾는 산은 아니다 버섯 보러 갈게 아니면 갈 이유가 없는 그런 산.. 아직 능이도 송이도 이르고.. 싸리만 조금 보인다 나머진 거의 쓸모없는 그물버섯류 아니면 광대버섯류.. 꾀꼬리버섯은 이제 막 나오는 중이고.. 삼봉 버스정류장(영동읍 당곡리)~임도~전망대~삼봉산 고갯마루~삼봉산~삼봉산 고갯마루~삼봉 버스정류장 9.7 km, 5시간 2023. 8. 28. 민주지산 싸리버섯 산행 영동지역의 싸리버섯은 이제 시작.. 며칠 전 비로 녹아내린 것이 많았다 기대했던 연기싸리(보라싸리)나 송이싸리는 안 보이고 온통 잡싸리만... 먹을 만큼만 채취해서 내려오는데.. 웬 뱀이 그렇게 많은지... 4번째 마주친 밀뱀은 발 담그고 있는 계곡 물 위를 헤엄쳐 다닌다 각호산 능선 오르다가 버섯이 안 보여서 되돌아 나와서 황룡사에서 삼도봉 가는 길.. 음주암 폭포 좌측 능선에서 잡싸리 채취 9.6km, 5시간 2023. 8. 16. 평창 동대산(오대산 선재길) 태풍 '카눈'이 지나가자 더위의 기세가 확연히 꺽였다 이젠 한낮에도 에어컨 켤 생각이 나지 않는다 오늘 강원도 산행에서도 그걸 실감했고.. 바야흐로 산행하기 좋은 계절... 진고개 탐방지원센터~동대산~동피골~선재길~상원사 7.5km, 3시간 30분 2023. 8. 13. 진천 태령산(보탑사) 오늘도 폭염경보 진천의 한낮 기온이 36도에 육박하는 무지막지한 더위엔 속수무책.. 태령산을 넘어 만뢰산을 오르다가 도저히 안 되겠어서 하산해 버렸다 이런 날 완주한다고 미련을 떨어봐야 멍청한 짓.. 보탑사 한 바퀴 돌아보고 '카페 연곡리'에서 푸짐한 팥빙수로 열을 식힌 후 15:10 버스(231번)을 타고 진천터미널로... 요즘 어딜 가나 나무를 베어내는 산이 많다 박통 때 나무 심고 아이들 동원해서 송충이 잡아가며 입산금지 시켜서 이만큼 전국토를 푸르게 만들었는데.. 이젠 나무 아까운 줄 모르는 것 같다 만뢰산도 벌목을 해서 산을 완전히 버려버렸다 다시 찾을 일은 없을 듯... 2023. 8. 4. 신원사~연천봉~관음봉~동학사 신원사~등운암~연천봉~관음봉~은선폭포~동학사~주차장 9km, 5시간 산에서 야생동물을 지척에서 본 건.. 몇 년 만이다 대둔산에서 너구리 떼를 만나게 2019년인가... 그리고 고청봉에서 겨울에 산돼지 무리를 본 것도 그 무렵인 것 같고.. 2023. 7. 31. 수락주차장~군지구름다리~마천대~낙조대산장~수락폭포 봄에는 노루귀, 얼레지등 다양한 야생화를 볼 수 있고 여름에는 시원한 계곡물에 몸을 담글 수 있고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답고 겨울엔 설경이 환상적인 산 이런 산을 시내버스 타고 수시로 찾을 수 있다는 건 복 받은거다 수락주차장~승전탑~수락폭포~220계단~군지구름다리~마천대~낙조대산장~수락폭포~수락주차장 7.8km, 4시간 30분 2023. 7. 27. 금산 성치산 성봉(12 폭포) 발 담그고 물놀이하다 오기에는 대전 인근에 성치산 12폭포만한 곳이 없다 주차장엔 서울에서 내려온 산악회 버스 한대.. 나올 때는 성치산휴게소 사장님이 금산터미널까지 태워줘서 아주 편하게 왔다 작년에 금산군에서 진입로 정비를 했다더니 성치산휴게소에서 제1 폭포까지.. 길이 아주 말끔해졌다 그 위로는 전과 동.. *성치산휴게소는 도로에서 12폭포교 건너 우측 주차장에 새로 생긴 카페 겸 매점 성치산휴게소~12폭포~성봉~12폭포~성치산휴게소 11.5km, 4시간 금산터미널~구석리(모티마을) 10:10~10:40 구석리~금산터미널 15:00~15:35 (14:20,15:55) 2023. 7. 20. 금산 진악산(보석사) 장마가 끝난 것은 아니지만 모처럼의 맑은 하늘..짬산행을 나섰는데.. 보석사에서 물굴봉을 향하다가찌는듯한 더위에 중도포기.. 음수골 임도로 방향을 돌렸다(음수골로 진행하다가 벌목이 진행중이라 김이 새서 돌아나왔다) 집중호우 때문에 국립공원중 설악산과 북한산.도봉산을 제외한모든 산이 전면통제.. 대전 인근의 대둔산.계룡산도 같은 상황.이런 더위엔 계곡을 낀 산을 가야 하지만 주변에 마땅히 갈만한산 찾기가 어렵다 그나마 계곡이 있는 식장산은 그저께 다녀왔으니.. 2023. 7. 1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