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눈물은 왜 짠가?

by 류.. 2006. 5. 10.

 



                              지난 여름이었습니다 가세가 기울어 갈 곳이 없어진 어머니를

                              고향 이모님 댁에 모셔다 드릴 때의 일입니다  어머니는 차시간도 있고 하니까

                              요기를 하고 가자시며 고깃국을 먹으러 가자고 하셨습니다 

                              어머니는 한평생 중이염을 앓아 고기만 드시면 귀에서 고름이 나오곤 했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나를 위해 고깃국을 먹으로 가자고 하시는 마음을 읽자 어머니 이마의

                              주름살이 더 깊게 보였습니다 설렁탕집에 들어가 물수건으로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았습니다 
                              "더울 때일수록 고기를 먹어야 더위를 안 먹는다 고기를 먹어야 하는데......

                              고깃국물이라도 되게 먹어둬라"  설렁탕에 다대기를 풀어 한 댓 숟가락 국물을

                              떠먹었을 때였습니다 어머니가 주인 아저씨를 불렀습니다 주인 아저씨는 뭐 잘못된 게 있나
                              싶었던지 고개를 앞으로 빼고 의아해하며 다가왔습니다 어머니는 설렁탕에 소금을 너무 많이 풀어

                              짜서 그런다며 국물을 더 달라고 했습니다 주인 아저씨는 흔쾌히 국물을 더 갖다 주었습니다

                              어머니는 주인 아저씨가 안 보고 있다 싶어지자 내 투가리에 국물을 부어주셨습니다 나는 당황하여

                              주인 아저씨를 흘금거리며 국물을 더 받았습니다 주인 아저씨는 넌지시 우리 모자의 행동을 보고
                              애써 시선을 외면해주는게 역력했습니다 나는 그만 국물을 따르시라고 내 투가리로 어머니 투가리를

                              툭, 부딪쳤습니다 순간 투가리가 부딪치며 내는 소리가 왜 그렇게 서럽게 들리던지 나는 울컥 치받치는

                              감정을 제하려고 설렁탕에 만 밥과 깍두기를 마구 씹어댔습니다 그러자 주인 아저씨는 우리 모자가

                              미안한 마음 안 느끼게 조심, 다가와 성냥갑 만한 깍두기 한 접시를 놓고 돌아 서는 거였습니다
                              일순,나는 참고 있던 눈물을 찔끔 흘리고 말았습니다  나는 얼른 이마에 흐른 땀을 훔쳐내려 눈물을 땀인 양

                              만들어 놓고 나서, 아주 천천히 물수건으로 눈동자에서 난 땀 을 씻어 냈습니다
                              그러면서 속으로 중얼거렸습니다

                              ...눈물은 왜 짠가 ...  


                                -함민복, 산문집[눈물은 왜 짠가] 中에서  

 

 

 

 

 

 


                                                                           강화 뻘밭에 선 함민복 시인


 


                                         그는 없는 게 많다. 집도 없고, 돈도 없고, 아내도 없고, 자식도 없다. 그래서 세속의 시각은

                                                  그를 늘 가난한 시인으로 규정한다. 그는 "그게 싫다"고 한다. "가난한 삶을 소개하려면 소년

                                                  소녀 가장이 바람직 한 게 아니냐"고 반문한다. 문학강좌 강의료와 고료로 한 몸 건사하기에

                                                  부족함이 없으니 "이만하면 족하다"는 것이다. 삶에 대한 선한 마음을 가진 함민복 특유의 낙

                                                  관이다. "가난하다는 게 결국은 부족하다는 거고, 부족하다는 건 뭔가 바라는 것이 많다는 건

                                                  데 욕심이 없으니 마음은 부자"라고 한다. 혼자 사니까 필요한 것이 별로 없고. 이 집도 언젠가

                                                  비워줘야 할지 모르지만 빈집이 수두룩하니 걱정 없다는 말에 여유와 편안함이 느껴진다. 그는

                                                  지난해 펴낸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에서 노모와 둘이 설렁탕을 먹는데 모친이 설렁탕이 짜다

                                                  며 국물을 더 시켜 아들 그릇에 몰래 부어주던 일화를 소개하여 독자들의 가슴을 짠하게 울렸다.

                                                  눈물 젖은 빵을 먹지 않은 사람과는 인생을 논하지 말라고 했듯, 가난의 설움을 겪어보지 않고서는

                                                  눈물의 짠 의미를 모른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는 로맨틱한 사건으로 사랑을 기억한다  (0) 2006.05.17
잊자  (0) 2006.05.16
가던 길 멈춰 서서  (0) 2006.04.30
내 생애 단한번  (0) 2006.04.30
그가 내 노트에 별자리를 그리기 시작했다  (0) 2006.04.26

댓글